Serverless로 만든 폴더, 깃허브에 올리는 방법
1. Githeb 레파지토리 만든다.
- README, gitignore 없이 프라이빗하게 만들기
2. Github Desktop을 이용하지 않고 서버리스로 만든 VSCode 커맨드 터미널에서 github와 연결한다.
- 가운데 커맨드 명령어 사용했다.
3. 위에 설명되어 있는 커맨드 순서처럼 작성
- gitignore 설정 : 필요없는 것은 깃허브에 올라가지 않도록 설정하는 부분이다.
$ git init
$ git add *
$ git commit -m "init"
$ git branch -M main
- 여기에서 gitbup.com 레파지토리를 프라이빗으로 설정해 두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.
$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내 주소 작성
- 오류 발생 시 해결방법은 깃허브 토큰을 만들어서 코드를 다시 작성하면 된다.
- 생성된 토큰을 넣은 명령어를 넣으면 잘 진행된다!
$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아이디:토큰@github.com/아이디/레파지토리명.git
$ git push -u origin main
4. Github에 레파지토리가 잘 만들어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GITHUB.CO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.com] 나의 workflows 보고 수정하기 (0) | 2024.05.28 |
---|---|
[Git] github Actions와 Serverless Framework로 AWS 배포 자동화하는 방법 (0) | 2024.05.24 |
[Git] github Actions로 EC2 리눅스에 git pull 자동화하는 방법 (0) | 2024.05.07 |
[Git] Git, Github.com, Github Desktop 사용하기 (0) | 2024.04.24 |